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버전관리 시스템 git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소개드립니다.
기존의 git을 CLI(command line interface)로 사용하시는 분도 많겠지만,
소스트리를 통해 명령어 대신 버튼 클릭으로 훨씬 수월하게 버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소스트리는 무료이고 시각적으로 커밋과 브랜치를 표현해주기 때문에 관리가 훨씬 쉬워집니다.
단, git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이전 블로그 https://minimin2.tistory.com/30?category=781893 에 가셔서
CLI방식의 기초 명령어와 개념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우선 아래 주소에서 소스트리를 다운받으세요.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실행해주시고, 이용 전에 로그인을 해줘야 합니다.
로그인 완료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텐데요,

오른쪽에 톱니바퀴 모양을 눌러 일반 탭에서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두 칸을 작성해주면 됩니다.
이제 기존의 프로젝트에 git을 새로 추가하시면 됩니다.
테스트용으로 SourceTree라는 폴더를 만들고 하위에 index.html 파일을 추가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새 프로젝트를 생성한 이후에, SourceTree에서 새로만들기-로컬 저장소 생성을 누르고 해당 경로를 선택합니다.

그럼 위와같은 화면이 뜨는데 $ git init 명령어처럼 자동으로 .git 폴더가 생성됩니다.


이제 위와 같은 화면이 뜰텐데, index.html이란 파일은 아직 add, commit 모두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 리스트에 있습니다.
체크박스를 눌러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 리스트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정은 $ git add index.html 명령어와 같은 동작입니다.

add가 된 상태로 +와 초록색 배경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커밋 메세지에 수정사항을 입력하여 commit 해보겠습니다.

저는 first commit 으로 입력한 후에 커밋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이는 $ git commit -m "first commit"과 같은 동작을 합니다.
커밋이 완료되면 해당 창에는 커밋할 내용이 없다고 뜨게 됩니다.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왼쪽 네비게이션바 중 히스토리를 더블클릭합니다.

위와 같이 first commit 이란 이름으로 잘 커밋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마지막으로 새 branch 생성을 해보겠습니다. 위의 메뉴 중에 브랜치 버튼을 누릅니다.

위와 같이 새 브랜치명을 적어주고 브랜치 생성을 하면 test_branch라는 이름을 갖는 branch가 생성됩니다.

위 그림처럼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발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ignore에 추가했는데 계속 tracking 하는 경우 (0) | 2020.08.23 |
---|---|
Notion에서 Tistory로 자동 업로드 #1 (방법 및 개요) (0) | 2020.08.22 |
[Git]git의 기본 사용법 및 명령어 (0) | 2019.01.25 |
[Git] git 예외파일, 폴더 지정하기 (0) | 2019.01.19 |
[Git] github page만드는 법 (0) | 2019.01.05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