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이란 웹을 이용하는 브라우저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CSS 내부에서 @media 쿼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스를 구성하였다. 의 기본 속성은 파란색 배경과 하얀 글씨이다. 여기서 @media 쿼리문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width값이 700px 보다 큰 작은 경우에는 배경을 빨간색과 검은 글씨로 바뀌도록 하였다. 여기서 max-width:700px 가 의미하는 것은 screen_width700px를 의미하므로 스크린의 크기가 최소 700px까지 아래의 속성을 적용한다. 위의 사진이 스크린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된 결과이다.
HTML+CSS
2019. 1. 5. 00:36
Box model이란 CSS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내용물을 포함하여 margin, border, padding 을 조정하는 사각형의 모델이다. 위와 같이 파란색 부분은 실제 내용물이 들어가는 공간이다. 초록색은 padding으로써 해당 박스의 경계 내의 범위이다. border는 경계로서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margin은 실제 내용의 경계 밖 범위이다. 이외에도 width는 넓이를 뜻하고, height는 높이를 뜻한다. padding과 margin이 헷갈릴 수 있는데 경계를 기준으로 안과 밖의 범위라고 생각하며 된다. 이 모든 속성은 CSS속성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HTML+CSS
2019. 1. 5. 00:19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